해외마케팅(시장) 보고서
2016 베트남 철강산업 현황 및 전망 2017.04.11 |
||||||||||||||||||||
---|---|---|---|---|---|---|---|---|---|---|---|---|---|---|---|---|---|---|---|---|
|
||||||||||||||||||||
2016 베트남 철강산업 현황 및 전망
베트남 수산양식업은 여러 성장장애 요인에도 불구하고 세계 경제의 성장과 현지기업의 경쟁력에 비추어 봤을 때 향후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은 산업임 < 요 약 >
□ 최근 4년간 연평균 15% 성장 - 다만, 치열한 시장경쟁 압박과 환경오염에 대한 규제가 산업발전의 저해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됨
□ 건설부문이 철강 산업 주도 o VN steel社, Hoa phat社, Hoa sen社가 철강시장의 주요 생산업체임 - 원자재 및 생산기술의 높은 수입의존도와 국내·외 생산업체의 공급과잉으로 시장 경쟁이 치열함
□ 정부 통제적 성향 - 베트남 철강협회는 ’16년 1월-10월까지의 국내 철강 생산량이 전년 동기대비 20.1% 증가한 1,400만 톤을 기록했다고 발표함 - 중앙 통제계획에 따라 국영 철강기업이 운영되고 있고 최근에는 중국 철강제품에 덤핑과세를 부과하여 국내 철강 사업을 일정부분 보호
□ 향후 전망 - 빠르게 성장하는 중공업, 도시화, 보호관세에도 불구하고 중국산 저가 철강제품 공급과잉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임 - 이를 극복하기 위해 원재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통합된 가치사슬 생산 공정을 갖춰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 시장별 동향
o 건설 철강은 철강 산업에서 48%를 차지하고 있으며, 형태에 따라 봉강(Bar steel), 강코일(Coil steel), 구조용 강재(Structure steel) 등으로 다시 세분화됨
철강 산업 분야별 시장 점유율(%) □ 주요 생산업체 ? o 베트남 철강연합에 따르면 VN steel社, Hoa phat社, Hoa sen社가 철강시장 주도하고 있음 - 건설 철강 분야에서 VN steel社, Hoa phat社가 24.7%, 19.5%로 가장 점유율이 높으며 Pomina社와 Vinakyoei社 또한 주요 생산업체임 - 스틸파이프 분야에서는 Hoasen社와 Hoa phat社가 시장 점유율 22.6%, 22.3%로 시장을 주도 - 파형아연도금 철판분야에서는 Hoa sen社가 34.1%의 압도적인 시장점유율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Nam kim社, Ton Dong A社가 각각 15%, 13.6%로 뒤를 이음 o 정부는 국영기업인 VN Steel社을 운영하고 있지만, 민간기업인 Pomina社와 Hoa phat社의 효율성이 높은 상황임 ? 건설 철강(%) 파이프 스틸(%)??????? 파형아연 도금 철판
□ 철강시장 경쟁 환경 분석
◎ 공급자 교섭력
o 철강 생산업체들은 생산기술 및 원자재에 대해 높은 수입 의존도를 보이고 있으며, 생산기술 및 원자재에 대해 높은 수입 의존도를 보이고 있어 공급자의 가격결정력은 낮은 수준임 - 원자재는 주로 고철강(Scrap steel), 빌렛(Billet), 철광석(Iron ore), 점결탄(Coking coal) 등임 o (고철강) 전체 소비량의 70~8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o (빌렛) 생산량이 현지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지만, 저렴한 중국산 빌렛이 현지 생산품을 대체하고 있는 추세
◎ 구매자 교섭력
o 철강 수요는 향후 크게 증가할 전망임 - 현재 베트남의 인구 대비 연간 철강소비량은 160kg로 세계평균인 240kg, 태국의 350kg에 비교해 적은 양이지만, 산업무역부(MOIT)는 향후 1인당 GDP가 증가함에 따라 1인당 철강소비량이 ’20년 250kg, '25년 373kg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함
◎ 신규 진입자의 위협
o 현지 및 외국 철강기업이 철강시장에 진출할 예정임 - 산업통상부에 따르면 ’20년까지 44개의 프로젝트가 새로 착수되거나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가 확장될 예정임 - Hoa sen社는 연간 생산량 1,600만 톤의 생산공장 설립 계획을 발표함. 1차 프로젝트로 ’19년까지 연간 생산량 150만 톤의 생산 공장 설립을 목표로 하고 있음 o 베트남-유라시아 경제연합 FTA(VN-EAEU FTA) 효과 및 루블화의 평가절하로 인하여 러시아 철강제품의 對베트남 수출이 활발해질 것으로 예측됨
◎ 대체제의 위협
o 철강 산업의 대체 산업인 플라스틱 혹은 타 금속류 산업이 발전 초기상태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철강 산업을 대체하기는 어려움
◎ 기존 경쟁업체의 위협
o 철강시장에서 기존의 현지 및 외국기업의 경쟁이 심화돼 최근 몇 년간 현지 생산업체의 이익률이 감소하고 있고, 통합된 가치사슬 공급체계를 갖춘 Hoa phat社만이 성장하고 있음 o 중국 기업들이 철강제품을 저가에 덤핑 처리함에 따라 공급과잉이 더욱 심화됨
□ 철강시장 성장 및 장애요인
◎ 성장 요인
o 베트남 경제가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철강 산업 또한 성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 o 부동산업이 급성장함에 따라 철강 산업도 향후 성장할 여지가 충분함
◎ 장애 요인
o 높은 원자재 수입 의존도 및 과잉 공급이 베트남 철강 산업의 발전을 지체시킬 것으로 전망됨 o 환경오염 관련 규제 및 폐기물 처리 또한 성장 장애요인임 - Formosa Ha Tinh社가 산업쓰레기를 처리과정 없이 무단으로 방류하여 주변 바다를 오염시키고 물고기를 떼죽음시킨 사건 이후로 새로운 프로젝트 추진 시 환경오염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만족시켜야 함
□ 정부규제
o 정부는 철강생산 계획에 따라 목표 생산량을 설정 o 정부는 자국 철강 산업 보호를 위해 세이프가드를 적용하고 있음 - 해당 상계관세는 4년 동안 적용되며, 매년 1~2%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20년에는 철폐됨 o 빌렛과 같은 원재료를 자체 생산하는 현지기업인 Hoa phat社와 Viet Ysteel社는 수입관세 부과의 혜택을 누리지만, 수입자인 Pomina社, Viet Duc Steel社, Vinakyoei steel社는 관세 부가가 오히려 불리하게 작용함
□ 전망
o 철강 산업의 전망에 대해서는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혼재됨 - 빠르게 성장하는 중공업, 도시화, 보호관세에도 불구하고 중국산 저가 철강제품 공급과잉, 지나친 원자재 수입의존 등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o 이를 타개하기 위해, 현지 생산기업들은 생산 공정을 개선하고, 제품 다변화 및 고부가가치 철강제품 생산을 위한 기술개발 등이 필요함
< 출처 : 베트남철강연합(VSI) 및 무역협회 호치민지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