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무역뉴스

국내외 무역뉴스

[국내] 관세청 "국제 e커머스기업 규제, 대부분 국가서 시행중"

2023.01.26조회수 181

트위터 페이스북 단축url

프린트

대륙
업종
태그
관세청, E커머스
국가
원문
관세청 "국제 e커머스기업 규제, 대부분 국가서 시행중"
일부 언론 지적에 국내 유통 및 산업계 영향, 국민안전 종합 고려해야

관세청은 26일 '한국의 글로벌 e커머스(전자상거래)기업 규제 때문에 글로벌권역물류센터(GDC) 유치가 막혔다'는 일부 언론의 지적에 "해당 규제는 홍콩, 싱가포르를 제외한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운영 중"이라고 반박했다. 이날 관세청은 설명자료를 내고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것은 소비자 후생 증대라는 측면 이외에 현행 해외직구에 대한 각종 혜택, 국내 유통 및 산업계 영향, 국민 안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신중히 결정해야 할 사항"이라며 "홍콩, 싱가포르는 관세 등 세금이 거의 없고 해외직구 관련 제조업 기반 같은 경제구조가 우리와 달라 일률적으로 비교키 곤란하다"고 강조했다.

또 "규제가 완화될 경우 외국 전자상거래업체는 국내에 지은 GDC에 국내 소비자가 주문할 해외직구 물품을 미리 쌓아놓고 국내 소비자의 해외직구 주문 시 즉시 배달하게 된다"며 "결론적으로 국내 전자상거래업체를 통한 국내직구와 시간 및 비용 등 측면에서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켜 해외직구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돼 여러 문제가 우려된다"고 설명했다. 관세청이 꼽은 대표 문제는 국내 유통 및 제조업계와의 세금·요건확인 등 형평성 문제, 국민안전 및 소비자 피해 악영향 등이다.

그러면서 관세청은 "규제 완화 시 사실상 해외직구로 보기 곤란해 현행 자가사용 용도 해외직구에 한해 특별히 허용되는 세제 등 혜택을 부여키 어려워 질 수 있다"며 "세계 대부분 국가들도 이런 문제를 감안, 글로벌 전자상거래 업체가 자국에 지은 GDC 물량에 대해 세제 등의 특별한 혜택이 주어지는 B2C 통관을 허용하고 있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일부 언론은 한국 내 글로벌물류센터에서는 한국 소비자에게 상품을 배송할 수 없도록 한 규제 때문에 글로벌 e커머스 기업이 글로벌물류센터 건설계획을 한국에서 홍콩으로 방향을 틀었다고 지적했다.

[뉴시스 제공]

첨부파일